top of page
검색

혼란스러운 시장, 재정은 이렇게 지켜요.

요즘 미국 주식시장, 꽤나 롤러코스터처럼 움직이고 있죠.하루는 금리 인하 기대감에 반등했다가, 다음 날엔 관세나 인플레이션 우려로 다시 하락하고…상승과 하락이 반복되면서 "지금 뭘 해야 하지?"라는 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S&P 500와 나스닥 모두 반등할 때면 뉴스에서는 "경기 회복 기대감"이라는 말이 나왔죠. 하지만 시장이 올랐다고 해서, 지금 우리가 마냥 안심할 수 있을까요?


사실 주식 시장이 올라도, 그 안에는 아직도 풀리지 않은 ‘근본적 불안 요소들’이 여전히 자리 잡고 있습니다. 최근 제가 가장 주의 깊게 보고 있는 세 가지 흐름이 있는데요.  


첫째,미-중 관세 갈등이 다시 심화되고 있습니다.

→반도체, 전기차, 배터리 등 주요 수출입 품목에 추가 관세 부과가 논의되고 있죠. 이런 관세는 단순한 무역 이슈가 아니라 우리에게 “수입 비용 상승 → 물가 상승 압력 → 소비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즉, 우리 실생활에서도 생필품 가격 상승이나 투자 수익률 하락 같은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둘째, 인플레이션이 여전히 잡히지 않고 있습니다.

표면적인 수치는 조금 내려왔지만, 여전히 식료품, 주거비, 보험료, 의료비는 계속 오르고 있어서 체감 물가는 전혀 안정되지 않은 거죠. 물가는 계속 오르는데 소득은 제자리라면, 자연스럽게 저축률이 낮아지고, 미래 자산 형성도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셋째, 그리고 무엇보다 세금 리스크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고소득층 증세, 소셜연금 축소, 법인세 조정 등 이제는 "언젠가는 바뀌겠지"가 아니라,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를 고민할 시점입니다.

지금의 소득 구조, 투자 방식이 향후 세금 체계 변화에 얼마나 유연한지 꼭 점검해야 합니다.


이런 경제 전망의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재정관리에서 승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점검해야 할까요?

ree

시장이 오르면 “나도 투자해야 하나?”, “지금이라도 들어가야 하나?”등 많은 분들이 이런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언제 들어가느냐’보다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느냐’입니다.


<재정관리의 4가지 핵심 방향>


1. 지금 수입보다 중요한 건 '돈의 구조'입니다.

소득이 많아도 구조가 엉망이면 자산이 쌓이기 어렵습니다. 지출과 저축의 흐름이 ‘ 계획된 시스템’ 위에 있어야 합니다.

‘소비 계좌’‘비상 계좌’ ‘투자 계좌’ ‘세금 대비 계좌’가 명확히 분리되어 있는지 확인해보세요.


2. 투자는 타이밍보다 ‘꾸준함’입니다.많은 분들이 "지금이 들어갈 타이밍일까?"를 고민하지만, 진짜 중요한 건 ‘언제’보다 ‘얼마나 꾸준히 하느냐’입니다.

예를 들어, 매달 일정 금액을 투자하면, 시장 상황에 따라 쌀 때는 더 사고, 비쌀 때는 덜 사게 됩니다.→ 이렇게 투자 단가를 평균화해 리스크를 줄이는 방식이 바로 ‘자동 정기 투자 전략’입니다.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투자 자산의 비율이 바뀌기 마련인데요, 1년에 한두 번 정도는 비율을 다시 조정해 줄 필요가 있어요.→ 지나치게 오른 자산은 일부 줄이고, 덜 오른 자산을 채우면, 위험을 낮추고 포트폴리오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정해진 원칙을 지키며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이기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3. 세금은 '결과'가 아니라 '전략'입니다.미리 대비하지 않으면, 은퇴 후 더 많은 세금을 낼 수도 있어요.지금이야말로 Roth 계좌, HSA, 세금 우대 상품 등을 적극 활용할 시기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낮은 해에 미리 Roth Conversion을 고려해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현금 흐름은 곧 생존력입니다.자산은 있어도 유동성이 부족하면 위기에 대처할 수 없습니다. 6개월치 생활비는 안전하게 예기치 못한 의료비,긴급 생활비 등 비상 시에도 자산을 ‘팔지 않아도 되는 구조’가 필요합니다.


정리해서 말씀드리면, 시장이 좋을 땐 수익을, 시장이 흔들릴 땐 안정감을 줄 수 있는 구조를 만드는 것이 진짜 재정 관리입니다.


“재정은 타이밍이 아니라, 구조입니다.”

혹시 지금의 재정 구조에 확신이 없으시다면, 한 번 점검 받아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간단한 점검만으로도 큰 변화의 시작이 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머니코치 Joy Kim

 
 
 

댓글


  • Youtube
  • Blogger

© 2024 홈페이지에 대한 모든 권리는 JK MONEY COACH LLC에 귀속됩니다.

bottom of page